학술 프로필
윤종환
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 박사수료(2024.08.)
작가. 사서(정사서 2급, 큐레이터)
연구 및 관심 분야
한국 근현대 시, 소설, 문학 텍스트
: 한국시의 포에틱 딕션(poetic diction)개념을 정립, 이를 바탕으로 한국 시문학사의 맥락을 재구성합니다
: 문학 작품이 지닌 미학을 바탕으로 문학, 사회, 무의식 간의 관계와 구조적 인과성을 연구합니다
: 언어와 언어 간 교차와 상호침투, 작가-주체 간 영항 관계로 빚어진 상호텍스트성을 연구합니다
동시대 한국문학과 문화, 동/아시아 담론
자연철학, 과학철학, 복잡계
문학과 예술에서의 수사(학)
소셜미디어와 네트워크분석(SNA) 등도 두루 다룹니다
학위 취득 과정
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 현대문학 박사
- 2022.09 입학 ~ 2024.08 과정 수료
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 현대문학 석사
- 2020.02 입학 2022.08 졸업
- 석사학위논문 인문사회 우수논문상 수상
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 학사(문학사)
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(문학사)
- 2014.03 입학 2020.02 복수학위 졸업
- 2019 문과대학 최우등, 20년 우등 졸업
발표 논문 (평론)
저자, 글 제목, 학술·문예지, 발행 기관, 발행 년도 순
- 윤종환, 「김수영 시의 몸과 사랑 - '생활피로'를 중심으로」,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, 2022.
- 윤종환, 「마종기 초기 시의 "이주민" 의식에 대한 연구 - 1960년대 시를 중심으로」, 『한국시학연구』 제73호, 한국시학회, 2023, 203-236쪽.
- 윤종환, 「팬데믹 시기 문학과 기록 텍스트에 드러난 배달 노동 주체의 설움 - 주창윤의 시와 플랫폼 노동 기록 텍스트를 중심으로」, 『국제어문』 제96집, 국제어문학회, 2023, 277-303쪽.
- 윤종환, 「(특집) 김수영과 무한화서(無限花序) - 김수영 시의 '꽃' 다시 읽기」, 『한국시학연구』 제75호, 한국시학회, 2023, 67-102쪽.
- 윤종환, 「(특집) 인간-인공지능 앙상블의 발생적 생성으로서의 시 ― 한국형 ChatGPT 시아(SIA) 시집 『시를 쓰는 이유』를 읽는 한 방법」, 『국제어문』 제98집, 국제어문학회, 2023, 65-96쪽.
- 윤종환, 「(특집) 한국시의 포에틱 딕션 혁신과 미적 자유 (1) ― 전영경 시집 『김산월 여사』의 비속어 수행」, 『한국근대문학연구』 통권48호, 한국근대문학회, 2023, 47-82쪽.
- 윤종환, 「海子(하이즈)와 한국 근·현대시의 정동적 조우 - 보리/밭 이미지라는 공통을 매개하여 -」, 『한중인문학연구』 제81집, 한중인문학회, 2023, 103-132쪽.
- 윤종환, 「한국전쟁 전후 박태진 초기 시의 현대성—1960년대 발표작의 생활 인식과 대기적 사유」, 『한국현대문학연구』 제72집, 한국현대문학회, 2024, 295-331쪽.
- 윤종환, 「김수영을 표절한 임화, 임화를 애도한 김수영(1) ― 임화와 김수영의 시적 세계관과 그 상동성」, 『한국시학연구』 제78호, 한국시학회, 2024, 193-236쪽.
- 윤종환, 「국제입양 한국계 덴마크인 문학과 영상의 뿌리/정체성 전유 방식: 에바 틴드, 제인 진 카이젠, 마야 리 랑그바드의 조형성과 미적 정치」, 『비교문학』 제93호, 한국비교문학회, 2024, 109-148쪽.
- 윤종환, 「마종기 초기 시의 생태적 애도 ―「證例」연작 읽기」, 『한국문예비평연구』 제82호,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, 2024, 167-197쪽.
- 윤종환, 「"쌍소리", 꽉 막힌 세계에 놓는 사혈침(瀉血鍼) ― 전영경 다시 읽기」, 『현대시학』 제620호, 현대시학사, 2024, 68-107쪽.
- 윤종환, 「오해로부터 이해로의 항해 - 한국문학 연구 방향을 위한 제언」, 『웹진 한국연구』 연구자의 최전선 8월 기획, 한국연구원, 2024.
- 윤종환, 「"사물의 쿠데타" ― 최인호 단편 「타인의 방」의 사물성 재독」, 『현대소설연구』 제95호, 한국현대소설학회, 2024, 301-332쪽.
- 윤종환, 「한국의 미개(未開)」, 『웹진 한국연구』 11월 기획논단, 한국연구원, 2024.
- 윤종환, 「문학사로서의 시, 영향 소멸에 대한 불안을 전유하는 시 쓰기 ― 전영경 시집 『선사시대』 읽기」, 『한국시학연구』 제80호, 한국시학회, 2024, 177-222쪽.
- 윤종환, 「초토(焦土)와 무주공산(無主空山)에 대한 시적 전유 ― 구상 초기(1950~70) 연작시의 흐름」, 『한국근대문학연구』 통권 51호, 한국근대문학회, 2025, 105-142쪽.
- 윤종환, 「(특집) 문학적 공감 : 은유-세계와 그 구조적 닮음 해석하기 ― 한하운 시 읽기를 예시하며」, 『횡단인문학』 제 20호, 숙명인문학연구소, 2025, 111-145쪽.
학술 발표(컨퍼런스, 심포지엄, 워크숍)
참여년월, 발표 명, 행사 명, 주최 기관, 장소 순
개인 발표
- 2022.10, 「복수의 정동 너머 - 임솔아의 시를 중심으로」, 『보편적 어펙트 연구 너머의 지형도 그리기』, 젠더·어펙트연구소, 연세대 국어국문학과BK(4단계)교육연구단, 동아시아연구소, 비교사회문화연구소 / ZOOM Online.
- 2022.12, 「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노동 외주화와 설움의 정동 구조 - 주창윤의 시와 플랫폼 배달 노동 기록 텍스트 교차 분석」, 『문자와 비문자의 공존과 소통』, 국제어문학회, 중앙대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, 다문화콘텐츠연구소 / 중앙대학교 서라벌관, 서울.
- 2023.2, 「Modern Poems of Korea and Kinetic Energy of Their Words」, 『Energy in Asia』, UCLA Center for Korean Studies, EnviroLab at Claremont Colleges / UCLA Charles E. Young Research Library, LosAngeles U.S.
- 2023.5, 「김수영과 무한화서(無限花序)」, 『탄생 100주년 기념 시인 학술대회』, 한국시학회 / 단국대학교 미디어센터, 용인.
- 2023.7, 「시 텍스트에 근거한 구심적 독해의 실례」, 『제1회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학술교류회』,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/ 서강대학교 정하상관, 서울.
- 2023.8, 「한국시의 포에틱 딕션 혁신과 자유에의 열망(1) - 비속어 수행성을 중심으로」, 『한국근대문학회 제48회 전국 학술대회』, 한국근대문학회 / Zoom Online.
- 2023.10, 「海子和韩国当代诗的情动的遭遇 ― 通过关注麥(地)的意象」, 『第四届人文韩国学国际学术会』, 山东大学 / 济南, 中国.
- 2023.10, 「The Desire Surrounding Signifier of K-pop OPPA and its Genealogy」, 『K-pop and the West : Media, Fandom, and Transnational Politics』, Asia Research Institute, SUNY at Buffalo (UB) / NewYork U.S..
- 2023.12, 「The imagery of Island and Archipelago in Korean-Danish Literature and Arts : An Aesthetic Practice for its Continuous Movement of Thoughts」, 『Islands and Mobility: Connecting, Disconnecting, and Intersecting』,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(KCLA) and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, Jeju National Univ / Jeju Island, South Korea.
- 2024.2, 「한국전쟁 전후의 박태진 : 번역가, 김수영의 문우, 그리고 시인」, 『한국현대문학회 2024년도 제1차 정기학술대회』, 한국현대문학회 / 서울대학교 신양학술정보관, 서울.
- 2024.7, 「"사물의 쿠데타" - 최인호 단편 「타인의 방」의 사물성 재독」, 『한국현대소설학회 65회 정기학술대회』, 한국현대소설학회 / ZOOM Online.
- 2024.11, 「한국시의 포에틱 딕션과 일상성의 수사학」, 『수사학과 인간: 2024년 추계학술대회』, 한국수사학회 /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회관, 서울.
- 2024.12, 「은유-세계에 침투하기와 구조적 닮음에의 공감」, 『제4회 국제학술대회 : 공존을 위한 공감의 개념과 실제』, 숙명인문학연구소 / 숙명여자대학교 백주년기념관, 서울.
- 2025.1, 「1988년 해금조치 전후 한국(시)문학사에 대한 이해와 영향사의 문제」, 『제4회 한국학포럼 젊은 한국학 워크숍3: 대한민국 제5공화국의 빛과 그림자』,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/ 지훈회의실, 서울.
- 2025.2. 「사랑으로부터 해방된 사랑 :임화의 사랑론 읽기」, 『카프(KAPF) 창립 100주년 기념 심포지엄』, 임화연구회,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, 반교어문학회 /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, 서울.
- 2025.2. 「작전 명 : 무주공산을 탈환하라! : 구상 시 다시 읽기」, 『근대 동아시아 계몽주의의 매체적 지평』,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,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/ 부산대학교 인문대학, 부산.
- 2025.5. 「윌리엄 블레이크 전유 혹은 동시성 - '순수의 전조'와 한국시의 사유이미지 비교」, 『세계문학비교학회 2025 춘계 정기학술대회 - 극단의 시대를 넘다 : 공존과 상생의 길』, 세계문학비교학회, 세계문화예술경영연구소 /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회관, 서울.
토론
- 2025.1. 「'플랫폼 노동의 셈법(김나현)'에 대한 토론」, 『연결-신체 이론과 젠더어펙트 연구 : '포스트 휴먼' 이후의 역사적 전망』, 젠더&어펙트연구소 / ZOOM Online.
번역
번역 기간, 번역어, 저자명, 텍스트명, 서지 사항 등 순
- 2024.07.~2025.06, (ENG to KOR) Jonathan Chan, Poetry Collection 『Going Home』 (Landmark Books, Singapore, 2022) ; 출판 검토 중
합동 연구
2024.09. ~ 2025.02. Interrogating the Fifth Republic: State, Power and Control in South Korea, 1980-1987
- 제4회 민연 젊은 한국학 워크숍(RIKS Workshop) 선정
- 연구팀 : 오윤화(SOAS London, 팀장), 한충일(Cambridge), 이가현(Royal College of Art/Tate Modern), 하채균(Cambridge), 박민지(Menchester), 윤종환(Yonsei)
강의 경력 (문학, 사회참여 위주)
고등교육기관 강의
-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전공선택 [시어와 시적언어] 강사 6개월 (2025.09.~2026.02.)
-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교양 [글쓰기] 튜터 2년 (2023.03~2025.02.)
- 연세대학교 인문융합교육원 외국인 대상 [한국어] 튜터 1년 (2021.03.~2021.12.)
-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[교육과정의 원리] 특강 1일 (2021.03.10)
-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외국인 대상 [문학이란 무엇인가], [현대시읽기], [문학평론쓰기] 튜터 2년 (2020.03.~2022.02)
대중&시민 강좌
- 포인트니모 [한국시 읽기] 강사 3개월 (2025.03.~2025.06.)
- 언더독커피 [시 읽기 워크숍 : 시와 은유 - 문학 읽기는 어떻게 공감으로 이어질까?] 강사 1일 (2025.06.28)
초·중등교육기관 강의
- 인천 강화고등학교 [사회참여활동 학생 워크숍] 1일 (2024.11.21.)
- 서울 월정초등학교 [시 쓰기 교실] 1주 (2023.9.11~9.14)
학술 기관 및 단체 활동 경력
- 현대문학이론학회 학술지 심사위원 (2024.08.~)
- (사)이청준기념사업회 간사 2년 6개월 (2022.09.~2025.02.)
-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정명교(정과리) 교수 개인 조교 1년 (2021.03.-2022.02.)
-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기획부학장(조강석) 교수 개인 조교 1년 (2023.03~2024.02.)
- 인문예술진흥사업단 연구조교 1년 6개월 (2022.10.~2024.02.)
- HULT PRIZE 심사위원 (2022)
- SK SOVAC '사회적 가치 대축제' 진행 (2020)
- 연세대학교 고등교육혁신원 인문&사회 혁신 앰배서더 4년 (2020.03.~2024.02.)
- 연세대학교 고등교육혁신원 소셜임팩트챔피온십 심사위원 1년 (2022)
- 하이드림콘서트(High Dream Concert) 기획 및 운영 총괄 2년 (2018.~2019.)
- 멘토링&강연 교육기부 봉사단 창단 및 단장 역임(2013.01.~)
수상
수상 년도, 수상명, 수여 기관 순
- 2012 대한민국인재상 (대한민국 대통령)
- 2012 청소년보호 및 육성 유공자 표창 (여성가족부 장관)
- 2015 해안경비 유공자 표창 (국민안전처 장관)
- 2018 국민 교육발전 유공자 표창(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)
- 2018 연세문화상 윤동주 문학상(시) 당선
- 2018 제23회 이한열문학상(시) 우수 당선
- 2019 연세문화상 박영준 문학상(소설) 당선
- 2019 백마문화상 백마비평상(평론) 가작 당선
- 2019 제6회 동교인재상 (수림재단)
- 2019 최우등상(1%) (연세대학교 총장)
- 2019 연세대학교 1호 사회혁신가 (연세대학교 총장 겸 고등교육혁신원장)
- 2020 제1회 디지털인문학 학술 공모 우수상 (연세대학교 문과대학장)
- 2020 대한민국 교육기부 대상(멘봉단) (교육부장관)
- 2021 대한민국 교육기부 대상 명예의전당(멘봉단) (교육부장관)
- 2022 제17회 연세 사회봉사상 / 진리 (연세대학교 총장)
- 2023 Merit Thesis Award ; 인문사회 우수논문상 (연세대학교 총장)
- 2024 2023 Yonsei Young Scholar (연세대학교 대학원장)
장학
장학생 선발 과정, 장학 내용, 장학 기관 순
- 학부과정 4년, 성적 우수 전액,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(2년) EBS(1년) 인천인재육성재단(1년)
- 석사과정 2년, 전액,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
- 박사과정 2년, 학술 우수 장학, 관정이종환교육재단
- 석사 학위 논문 인큐베이팅(DF) 장학, 연세대학교 문과대학(1개 학기)
- 박사과정 학술 논문 인큐베이팅(ARF) 장학, 연세대학교 문과대학(2개 학기)
- 사회혁신 활동 및 연구 장학, 고등교육혁신원
- 공익 활동 우수 장학, 서울장학재단(1년)
- 서울 희망 김대중-노벨 공인인재 장학, 김대중평화센터·김대중도서관(1년)
고등교육혁신원에서 수령한 사회혁신 활동 장학금 ₩ 15,000,000 전액 및 공익 활동 장학금은 모두 사회참여 활동으로 환원
보유 자격증
정사서2급 자격증(문화체육관광부, 한국도서관협회)
국가공인기술자격(워드프로세서, ITQ 파워포인트, 한글, 컴퓨터활용능력, 문서실무)